도시계획직 공부방법 소개
도시계획직은 지방직 9급 시험에서만 선발하는 시험이다.
도시계획직은 공무원 중에서 유일하게 부동산 관련 업무를 전문으로 하기에 실무에서 터득하는 이점이 매우 많다.
시험은 도시계획개론과 토지이용계획의 2과목이 전공과목으로 치러진다.
국어, 영어, 한국사, 도시계획개론, 토지이용계획 이렇게 5과목이 시험과목이다.
전공과목 2과목의 시험출제는 각 지방자치단체별로 시행되기에 비공개 시험이다.
각 지자체별 시험문제가 다르기에 난이도가 다른 점을 감안하면 지역별로 커트라인 점수를 비교하는 것은 의미가 없다.
다만 참고용으로만 확인하기 바란다. 아울러 공무원 수험가에서 도시계획과목과 토지이용계획에 관련한 수험서와 전공과목 강의를 하는 곳은 정명재 선생님이 유일하다. 이러한 이유로 인해 해마다 다수의 도시계획 합격자들은 정명재 선생님의 강의와 전공과목 수험서를 본 경우가 전부다.
도시계획 관련 기출문제집, 모의고사, 요약정해를 출간하는 곳도 정명재 선생님이 강의하는 곳도 ‘일타에듀’가 유일무이하다.
1. 도시계획 합격이 좋은 이유
누구나 부동산과 재테크에 관심이 많다. 도시계획직은 각종 도시계획 인허가를 담당하고 재개발과 재건축의 초기 계획을 수행하기에 실무가 바로 재테크 공부가 될 수 있는 유일한 직렬의 시험이다.
2. 도시계획합격이 쉬운 이유
대한민국에서 도시계획직을 강의하는 강사는 정명재 선생님이 유일하다. 2015년부터 도시계획직 강의를 하였다.
시중에 도시계획 기출문제, 토지이용계획 기출문제 키워드를 검색하면 유일하게 확인되는 곳이기도 하다. 강사가 1명이고 강의가 제한적인 이유는 소수직렬의 특성상 이익이 되지 않다는 것이지만 2015년부터 꾸준히 합격생을 배출하였고 정명재 선생님 본인이 시험에 들어가서 합격을 하신 분이기에 믿음이 갈 수밖에 없다.
3. 도시계획직 공부방법
도시계획 법령 공부를 먼저 해야 한다. 책은 대단히 두껍지만 정명재 선생님의 알찬 강의를 들으면서 한다면 쉽고 재미있는 시험공부란 생각이 들 것이다.
용도지역, 용도지구, 용도구역, 기반시설, 공원 및 녹지 등에 관한 법령의 이해와 암기가 선행되어야 한다. 이후 도시계획과 토지이용계획에 관한 이론을 공부하면 된다. 기출문제와 모의고사를 통해 실력을 겸비하면 전공과목에서 자신감이 생긴다.
자격증(기사와 산업기사 5점, 기능사 등은 3점)이 없어도 시험을 응시할 수 있다.
모든 소수직렬과 기술직렬이 대체로 자격증을 요구하지는 않는다. 누구나 응시가능한 직렬이 도시계획직 9급 시험이다.
4. 강의 없이 공부가 가능한가?
가능은 하지만 똑같은 선상에서 출발하는 것이 아닌 차이가 벌어지기 시작하는 부분이다. 합격자가 교재를 쓰고 합격자가 강의하는 것을 들은 수험생과 독학으로 책만으로 공부한 수험생의 괴리는 생기게 마련이다.
정명재 선생님의 강의에서 쉽고 재미있는 암기법과 새로운 유형의 문제들은 전해들을 수 있기에 강의는 필수라고 할 수 있다.
5. 누가 도시계획직을 합격하였는가?
정명재 선생님께 수강한 합격자들 중 대다수는 비전공자였고 자격증 소지자는 거의 없었다. 그럼에도 지역별 수석 점수를 득한 경우가 많았는데 지방직 시험에 특화된 차별화된 강의가 강의를 수강하지 않은 수강생과의 격차를 낳았다. 보통 전공과목에서 90점대를 유지하는 경우가 많았다. 평균 80점대의 점수를 유지하였는데 이는 직렬 수석점수에 해당한다.
6. 국어, 영어, 한국사의 공통점수는 얼마나 맞아야 하나요?
공통과목 점수에서 특히 영어가 취약한 경우가 많다. 공통과목의 평균 점수 50~70점대 수험생들이 많이 응시한다. 평균 50점 그러니까 총점 150점이라고 하더라도 전공과목에서 160점을 득하면 310점이 된다. 310점이면 평균 62점이 해당한다. 2019년 경기도 합격선은 60.5였는데 국어, 한국사의 점수가 50점대가 아닌 60~70점대가 나온다면 62점보다 훨씬 좋은 점수가 나올 수 있다.
전공과목의 비중이 크다 보니 공통과목 점수에서 60점대 이상만 나오면 합격가능성이 매우 높다고 할 수 있다.
7. 2020년 지방직 선발 인원 도시계획직
경기도 37명
경상북도 7명
전라남도 11명
대구시 6명
강원도 2명
전라북도 5명
8. 정명재 선생님의 9급 도시계획직 대비 수험서
가. 도시계획법령집
나. 도시계획 기출문제집
다. 도시계획 요약정해 테마116
라. 도시계획·토지이용계획 알짬 마무리(워크북)
마. 토지이용계획 기출문제집 및 모의고사 300제
바. 토지이용계획 요약정해
사. 도시계획 모의고사 200제
역대 도시계획직 응시인원 현황 및 경쟁률 분석
구분 |
2018년 |
2019년 |
경기도 |
선발인원 11명
합격선 65.5점 |
선발인원 28명
실경쟁률 4:1
합격선 60.5점
* 3개 도시 미달 |
경상북도 |
미선발
|
선발인원 14명
실경쟁률 3:1
합격선 56~81점
*하반기 추가 선발
선발인원 7명
합격선 69점 |
대구시 |
선발인원 3명
실경쟁률 12:1
합격선 66점 |
미선발 |
전라남도 |
선발인원 8명
실경쟁률 3:1
합격선 64점 |
선발인원 5명
합격선 61.5~74점 |
강원도 |
선발인원 4명
실경쟁률 4:1
합격선 75점 |
선발인원 1명
실경쟁률 4:1
합격선 70점 |